■ 농림지원사업32 2025년 공익직불제 ~ 그것이 알고싶다! 2025년 기본형 공익직불금 신청이 시작되었다. 공익직불금 신청기간 내에 신청하지 않은 경우는 직불금 수령이 불가하다는 점을 반드시 기억하고, 비대면신청기간(2025.2.1~2.28)과 대면신청기간(2025.3.4~4.30)에 해당되는 신청방법으로 신청하도록 하자. 2025년에 달라진 점은 면적직불금 단가를 전 구간 5% 상향하여 비 진흥 밭 단가를 논 단가의 80% 수준으로 인상된다는 점이다. 1. 공익직불금 신청기간과 신청방법 및 지급 금액 2. 공익직불금 농외소득 기준 3. 공익직불 대상자와 공익직불 대상 농지 자격 기준 4. 공익직불금의 종류(소농 직불금과 면적 직불금) 5. 농촌지역과 준농촌지역 6. 공익직불금 의무 교육 7. 공익직불금 부정 수급 8. 공익직불금 준수사항(1~.. 2025. 2. 10. 2025년 공익직불금 신청하기! 공익직불금은 농업 활동을 통해 식품 안전, 환경 보전, 농촌 유지 등 공익 창출을 유도하고 농업인의 소득 안정을 위해 농업 경영 정보를 등록한 농업인 또는 농업법인에 지급되는 보조금이다. ‘2025년 기본형 공익직불금’이 크게 달라진 점은 면적직불금 단가를 전 구간 5% 상향하여 비 진흥 밭 단가를 논 단가의 80% 수준으로 인상한다는 점이다. 공익직불금 신청기간1. 비대면신청기간 ( 2025.2.1 ~ 2.28 ) 비대면 신청 대상은 비대면 신청 대상은 사전 검증을 통해 적격자로 판별된 농업인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신청 방식은 젊은 농업인들뿐만 아니라, 기존 농업인들에게도 큰 인기를 끌고 있다. ※ 온라인 신청 절차 ️⃣ 안내 문자 확인: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발송한 신청 안내 문자를 확인 ️⃣.. 2025. 2. 3. 벼농가 감축 의무 부과(재배 면적 조정제) 정부가 내년부터 시행하는 '벼 재배면적 조정제'의 구체적인 윤곽이 드러났다. 기본직불금 받는 벼농가들에게 의무적으로 일정 재배 면적을 줄이도록 하고, 이행하지 않을 경우 직불금을 깎는 방식이다. 반면 재배 감축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농가에는 직불금을 더 주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내년 벼 재배 면적을 올해보다 8만 ha 줄인다는 구상이다. 벼 재배면적 조정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연내 발표하기로 한 ‘쌀산업 구조개혁 방안’의 핵심축으로, ‘농업·농촌 공익기능 증진 직접지불제도 운영에 관한 법률(농업농촌공익직불법)’에 근거해 추진한다.법 제13조에 따르면 농식품부 장관은 재배면적 관리가 필요한 경우 기본직불금 신청·등록을 한 농민 등에게 재배면적 조정 의무를 부과할 수 있다.→ 대상 작물 선정과 조정 .. 2024. 12. 16. 여성 농업인 행복 바우처 지원 여성 농업인 행복 바우처는관내거주하고 실제 영농에 종사하는 만20세~만75세 미만(1949.1.1~2004.12.31) 농업경영체 등록 여성농업인 신청 기간은 지역별 상이하므로 해당지역으로 확인하시고, 신청하시기 바랍니다.매년 1~2월에 신청하고 4월에 카드가 발급되지만 지자체에 따라 상시 신청을 받는 곳도 있습니다. 1. 지원내용 - 지원금액: 200천원(1인당) 2. 사용처와 사용기간 - 사용처는 스포츠센터, 영화관, 서점, 미용실, 목욕탕, 카페 등 일상적인 문화생활을 할 수 있는 곳입니다. - 사용기간은 매년 12월 31일까지이며, 남은 잔액은 자동으로 소멸됩니다. 3. 신청기관 - 본인이 살고 있는 읍·면·동사무소에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2024. 12. 9. 이전 1 2 3 4 5 ··· 8 다음